상식

김서림

경인생 2020. 3. 10. 19:31


(위) 큰 물방울을 떨어뜨렸을 때는 초발수성(좌) 및 초친수성(우) 표면 모두 김서림 방지 가능. (아래) 작은 물방울(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을 흩뿌렸을 때는 초친수성(우) 표면에서만 김서림 방지가 가능.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2020.03.10/뉴스1 © news1 (위) 큰 물방울을 떨어뜨렸을 때는 초발수성(좌) 및 초친수성(우) 표면 모두 김서림 방지 가능. (아래) 작은 물방울(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을 흩뿌렸을 때는 초친수성(우) 표면에서만 김서림 방지가 가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의료진의 고글을 밝게 해줄 '고글 김서림' 방지 기술이 곧 개발될지 주목된다.

10일 정병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의료진을 위한 고기능 고글 및 마스크 소재 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방문해 기술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연구진을 격려했다.

연구진은 현재 의료진의 방호복 착용으로 인한 고글 김서림 방지 및 바이러스 함유 비말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 마스크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이는 소재의 표면구조를 나노단위(10억분의 1미터)로 제어해 본래 소재가 가지고 있는 수분에 대한 특성(친수성 혹은 발수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다.

고글의 경우, 유리 표면이 초(超)친수성(물 분자를 좋아하는 성질)을 나타내도록 나노구조화하면 수증기가 방울 형태가 아닌 얇은 막의 형태로 퍼지기 때문에 김서림이 생기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장시간 고글을 착용하는 의료진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유리 표면 위에 친수성 물질을 얇게 도포하는 기존 김서림 방지제와 달리 의료기기 재사용을 위한 멸균과정에도 증발될 위험이 없어 내구성 면에서 우수하다.

마스크는 고글과 반대로 마스크 외부 소재의 발수성(천·종이 등의 표면에 물이 잘 스며들지 않는 성질)을 극대화시키면 바이러스가 함유된 비말이 마스크 표면에 접촉하는 것 자체를 어렵게 한다.

이에 따라 표면에 붙은 비말이라도 마스크 내부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감염 우려가 큰 환경에서 근무하는 의료진 활용 마스크의 저항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진은 관련 기업과 협업해 내구성 등 성능을 고도화하고 시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정병선 차관은 "신종 감염병으로부터 의료진을 비롯한 우리 국민을 보호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재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한 가운데 올해 해당 연구에 전년대비 136% 늘어난 2336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와 디스플레이 등 주력산업에 대한 독자 소재기술 확보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첨단소재 개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소재개발을 추진 중이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번호  (0) 2019.04.19
이사시 견적 ?  (0) 2019.03.11
야간운전시 주의 사항  (0) 2019.03.11
신차 구입시 옵션  (0) 2019.03.04
타이어 숫자  (0) 2019.01.18